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항공 소식/공항23

젯블루, JFK 터미널 5 리프레시 계획 발표 젯블루 항공과 뉴욕 뉴저지 항만청 및 Fraport USA는 3월 6일, 뉴욕 JFK 터미널 5의 리프레시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를 통해 40개 이상의 신규 소매 시설과 예술 설치물, 새롭게 디자인된 중앙 콩코스가 추가되어 고객 경험이 향상될 것이다.   신규 소매 시설은 2025년 중으로 개장할 예정이다. 터미널 개선 작업은 2026년 말에 완료될 예정이다.   터미널 5 리프레시 계획은 뉴욕 뉴저지 항만청의 190억 달러 규모의 JFK 국제공항 정비 사업과 일치하며, 뉴욕 시민과 전 세계 방문객에게 사랑받는 브랜드를 특징으로 한 지역 소유 사업체를 주목시킬 것이다. 18개 이상의 신규 현지 식음료 옵션을 포함하여 40개 이상의 소매 시설과 고객 경험을 통해 방문객은 JFK에서 보내는 시간을 더욱 즐겁.. 2025. 3. 8.
후쿠오카 공항, 국내선 상업 복합 시설 정비 개시 후쿠오카 공항 운영사인 후쿠오카 국제공항 주식회사(FIAC)는 3월 5일, 국내선 터미널과 일체가 된 상업, 호텔, 버스터미널 기능을 갖춘 복합 시설 정비를 4월에 개시한다고 발표했다. 복합 시설 정비로 국내선 터미널 랜드사이드에 위치한 점포 수는 약 270 점포로 일본 국내 최대급이 될 예정이다.   국내선 상업 복합 시설은 現 국내선 입체주차장 부지에 건설될 예정이다. 현재 FIAC는 4월 16일 오픈을 목표로 국내선 新 입체주차장을 건설하고 있다. 新 입체주차장 건설이 완료되는 4월 16일 전날인 4월 15일에 現 입체주차장은 영업을 종료할 예정이다.   국내선 상업 복합 시설은 지하 1층, 지상 11층 규모로 연면적은 약 12만 8천 제곱미터를 예정하고 있다. 1층에는 버스 터미널을, 1~4층에는.. 2025. 3. 6.
홍콩, 출국세 1.6배 인상 에정 홍콩이 출국세를 약 1.6배 인상할 예정이다. 인상 시기는 2025년 3분기로 예정되어 있다.   폴 찬 홍콩 특별행정구 재정사장은 2월 26일, 입법위원회에서 2025-26 예산안을 발표하면서 이러한 인상안을 발표하였다. 현재 홍콩의 출국세는 HK$120이지만 3분기부터는 HK$180으로 인상된다.   폴 찬은 세수 증대 방안 중 하나로 출국세 인상을 발표하였다. 폴 찬은 출국세 인상으로 연간 약 16억 홍콩 달러의 정부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항공 여객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콩의 출국세는 항공여객 출국세 조례(Cap. 140)에 따라 부과된다. 이는 홍콩 국제공항에서 항공편으로 출국하거나 홍콩-마카오 페리 터미널의 헬리포트에서 헬리콥터를 타고 홍콩에서 출국하는 승객.. 2025. 2. 27.
간사이 에어포트 주식회사, 고베공항 그라운드 핸들링 자회사 설립 간사이 국제공항, 이타미 국제공항 및 고베공항의 운영사인 간사이 에어포트 주식회사(KAP)는 2월 25일, 고베공항에 그라운드 핸들링 자회사 ‘고베 에어포트 에비에이션 서비스 주식회사(神戸エアポートアビエーションサービス株式会社)’를 3월 3일에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KAP의 자회사인 CKTS 주식회사와 히토 커뮤니케이션스(ヒト・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와의 조인트 벤처로 설립된다.   고베공항에는 4월 18일부터 국제선 전세편이 취항할 예정이다. 또한 2030년부터는 국제선 정기편이 발착할 예정이며, 이에 수반하여 국제선 전세편을 핸들링할 그라운드 핸들링 인력과 장비가 요구되고 있었다.   고베 에어포트 에비에이션 서비스 주식회사의 본사는 효고현 고베시가 될 예정이다. 지분율은 CKTS 주식회사 80%, .. 2025. 2. 27.
CKTS 주식회사, 간사이 에어포트 에비이이션 서비스 주식회사로 사명 변경 간사이 에어포트 주식회사의 그라운드 핸들링 서비스 자회사인 CKTS 주식회사는 2월 25일, 4월 1일부로 사명을 ‘간사이 에어포트 에비에이션 서비스 주식회사(「関西エアポートアビエーションサービス株式会社)’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사명 변경으로 브랜딩 강화를 도모한다.   CKTS 주식회사는 1994년 간사이 국제공항 개항에 맞춰 영업을 개시하여 고객 서비스, 램프 오퍼레이션, 화물 핸들링 등을 실시하는 종합 그라운드 핸들링 기업으로, 현재 간사이 국제공항 및 하네다공항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2016년부터는 간사이 에어포트 그룹의 일원이 되어, 공항 운영과 일체가 된 그라운드 핸들링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현재는 간사이와 하네다 양 공항에서 20개의 항공사에 그라운드 핸들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25. 2. 27.
MTR, 홍콩역 인타운 체크인 항공사에 싱가포르 항공 추가 홍콩철로유한공사(MTR)은 2월 22일, 홍콩역 인타운 체크인 가능 항공사에 싱가포르 항공을 추가한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총 4개의 항공사가 도심 체크인을 지원하게 되었다.   2월 24일부터 싱가포르 항공 승객들은 홍콩역 인타운 체크인 시설에서 원스톱 서비스로 체크인 절차와 수하물 위탁을 완료할 수 있다. 까우룽역 인타운 체크인은 싱가포르 항공 승객에게 허용되지 않는다.   싱가포르 항공 승객은 항공편 출발 24시간 전부터 출발 90분 전까지 인타운 체크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홍콩역 싱가포르 항공 인타운 체크인은 매일 9시부터 17시 20분까지 운영된다.   싱가포르 항공 이외에 얼마 전 콴타스항공도 홍콩역과 까우룽역의 인타운 체크인을 지원하기 시작하였다. 캐세이퍼시픽, 홍콩항공과 함께 총 4개.. 2025. 2. 23.
아메리칸 항공, 댈러스발 히드로행 승객 환승 보안검색 면제 아메리칸 항공은 2월 19일, 美 교통안전청(TSA)과 영국 교통부(DfT)와의 협력으로 댈러스 포트워스발 런던 히드로행 승객의 환승 보안검색을 면제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미국 정부와 영국 정부의 신규 파일럿 프로그램인 One Stop Security(OSS)의 일환이다.   OSS를 통해 댈러스발 아메리칸 항공 승객들은 히드로 환승 시 바로 국제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OSS는 환승 절차를 간소화하여 승객들이 보안검색에 대해 들이는 시간을 줄이고 여행을 즐기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한다.   OSS 창립 파트너 중 하나인 아메리칸 항공은 두 정부와 협력하여 2월 4일에 OSS를 출시했다. 파일럿 프로그램에는 댈러스 포트워스 허브에서 런던 히드로 유럽 최대 게이트웨이까지의 연결이 포함되어.. 2025. 2. 22.
고베공항, 터미널 1 PSFC 도입 고베공항의 운영사인 간사이에어포트 고베주식회사는 2월 17일, 5월 1일부터 고베공항 제1터미널 국내선 승객에게 PSFC를 징수한다고 발표했다. 출도착 승객 모두에게 징수한다.   PSFC는 300엔으로, 3세이상 12세 미만의 소인에게는 150엔을 징수한다. 3세 미만의 유아에게는 징수하지 않는다.   PSFC 징수 대상은 5월 1일 이후 발권분이다. 징수방법은 온티켓 방식으로, 항공권을 구입할 때 항공운임과 동시에 지불하여야 한다.   간사이에어포트 고베주식회사는 PSFC 징수에 대해 여객 터미널 빌딩을 보다 안전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출도착 로비 등의 서비스 제공, 각종 시설의 정비유지 관리에 충당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고베공항에서는 여러 개수 공사 등을 실시하고 있다. 2025. 2. 18.
국교성, 센트레아 나고야 주부국제공항 제2활주로 건설 허가 국토교통성은 2월 17일, 센트레아 나고야 주부국제공항의 운영사인 주부국제공항 주식회사로부터 신청된 공항등의 시설 변경에 대하여, 소요 심사 결과 시설 변경 신청을 허가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주부국제공항 주식회사는 대체 활주로 사업(제2 활주로)에 대해 착공할 수 있게 되었다.   대체 활주로 건설 사업은 현활주로의 대규모 보수시에 있어도 지속적인 공항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 완전 24시간 운용을 실현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현 공항 용지내의 유도로 B를 전용해 진행되는 사업이다.   대체 활주로의 길이는 3,290m, 폭은 45m이다. 공용 개시일은 2028년 3월 31일을 예정하고 있다. 2025. 2. 18.
MTR, 인타운 체크인 가능 항공사에 콴타스 항공 추가 홍콩철로유한공사(MTR)은 2월 8일, 인타운 체크인 가능 항공사에 콴타스 항공을 추가한다고 발표했다. 콴타스 항공 승객들은 이제 홍콩역과 까우룽역에서 인타운 체크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 인타운 체크인은 캐세이퍼시픽과 홍콩항공만이 제공하고 있다. 콴타스 항공이 이에 합류함에 따라 인타운 체크인을 제공하는 항공사는 3개사로 늘어났다.   콴타스항공의 홍콩역 인타운 체크인은 6시부터 19시까지, 까우룽역 인타운 체크인은 6시부터 15시까지 가능하다. 인타운 체크인 마감 시각은 항공편 출발 90분 전이다.   인타운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옥토퍼스 또는 AEL 티켓을 사용하여 인타운 체크인 구역에 입장하여야 한다. 인타운 체크인 구역 입장 시 AEL 운임이 사전 공제되고, AEL 탑승 .. 2025. 2. 12.
이스타항공, 나리타공항 발착 터미널 터미널 3로 변경 이스타항공은 2월 3일,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 발착 터미널을 3월 30일부터 터미널 2에서 터미널 3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터미널 3는 LCC 터미널이다.   2015년에 공용 개시한 터미널 3는 LCC 전용 터미널로 건설되었다. PSFC 억제 및 유지비 감축을 위한 설계로 지어졌다. 현재 터미널 1 및 터미널 2 국제선 출발 PSFC는 2,130엔이지만, 터미널 3 국제선 출발 PSFC는 이의 절반 수준인 1,040엔이다.   현재 터미널 3에서 발착하는 항공사로는 에어로케이, 제주항공, 젯스타, 젯스타 재팬, 필리핀 에어아시아, 춘추항공, 스프링재팬 등이 있다. 2025. 2.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