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항공 소식/항공 사건・사고5 하네다발 기타큐슈행 JAL 여객기, 이륙 중 항공등화 파손으로 긴급정지 하네다발 기타큐슈행 일본항공(JAL) 여객기가 이륙 중 항공등화와 접촉하여 항공등화가 파손, JAL기는 긴급정지하는 사건가 발생하였다. 이번 사건으로 부상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사건은 4월 7일, 하네다발 기타큐슈행 JL377편(B737-800/JA322J)이 이륙하던 도중 발생하였다. JL377편은 이날 19시 10분경, 유도로 D2에서 D 활주로(05/23)에 진입한 이후 이륙 허가를 받아 이륙 활주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JL377편은 이때 활주로 중심선등(백색)이 아닌, 활주로 좌측의 활주로등(백색) 위를 활주하였다. 가속 직후 문제점을 발견한 조종사들은 이륙 중단을 결심하고 항공기를 활주로 가운데로 이동시켰다. 그런 이 과정에서 유도로 D3 부근의 유도로등(청색)과 접촉하여 유도로등을 파손.. 2025. 4. 10. TSB, 델타항공 CRJ기 토론토 추락 사고 예비보고서 발표 캐나다 교통안전위원회(TSB)는 3월 20일, 델타항공 CRJ기 토론토 추락 사고의 예비보고서(외부 링크)를 발표하였다. 이는 예비보고서로 사고의 원인에 대해 지목하지 않았으며, 이후 새로운 정보가 발표될 수 있다. 2월 17일, 미니애폴리스발 토론토행 엔데버 항공 운항 델타 커넥션 4819편(CRJ-900LR/N932XJ/MSN 15194)은 토론토 공항 23번 활주로에 착륙하던 도중 활주로와 충돌하여 우측 날개가 분리되고 화재가 발생하였다. 이후 항공기는 거꾸로 뒤집혀져 23번 활주로와 15L 활주로의 교차 지점 부근에 정지하였다. 이 사고로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사고 타임라인 이날 사고기는 12시 47분, 2명의 조종 승무원과 2명의 객실 승무원 및 76명의 승객을 태운 채 미니애폴리스.. 2025. 3. 22. 홍콩 민간항공국, 이륙 항공기 간 충돌 위기 후 관제사 업무 배제 홍콩 민간항공국(CAD)은 2월 28일, 2월 27일 오전 홍콩 국제공항에서 이륙하는 항공기 간 충돌 위기가 발생하였다고 발표했다. 충돌 위기 발생 이후 두 항공기는 정상적으로 목적지까지 비행하였으며,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2월 27일 7시경, 홍콩 국제공항 관제사는 이스탄불행 MB380(A330-300P2F/TC-MCN)과 바쿠행 7L625편(B777F/P-BMU)에게 각각 중앙 활주로(07C)와 남측 활주로(07R)에서 이륙하라는 허가를 내렸다. 이륙 직후 각 항공편은 각각 5,000ft와 3,000ft로 상승하여 수직 분리를 유지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러나 두 항공편의 상승 속도는 관제사가 예상한 것과 달라 관제사가 요구한 수직 분리가 달성되지 않았다. 이때까지 두 항공편은 표준 출항절.. 2025. 3. 2. 델타항공 CRJ 여객기, 토론토 착륙 중 추락 미니애폴리스발 토론토 피어슨행 DL4819편(CRJ-900LR/N932XJ)이 토론토에 착륙하던 도중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항공기는 뒤집혔지만,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엔데버 항공 운항 델타 커넥션 4819편은 승객 76명과 승무원 4명 등 총 80명이 탑승한 상태로 11시 47분에 미니애폴리스 세인트폴 국제공항을 출발하였다. 29,000ft에서의 순항 이후 DL4819편은 토론토에 착륙하는 듯 하였으나, 14시 15분경에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 23번 활주로에 착륙하던 중 추락하였다. 추락 이후 항공기는 활주로 위에 뒤집힌 상태로 정지하였다. 우측 날개와 꼬리날개가 완파되고, 항공기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지만 탑승객 전원은 추락 직후 비상탈출하였다. 탑승객 80명 중 15명이 .. 2025. 2. 18. 포토맥강 상공 충돌 사고, 300ft 상공에서 발생 美 연방교통안전위원회(NTSB)는 2월 4일, 1월 29일에 발생한 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가 300ft 상공에서 발생하였다고 발표했다. 또한 아메리칸 항공 CRJ700의 잔해 상당 부분이 인양되었다. NTSB는 이날 로널드 레이건 워싱턴 내셔널 공항의 ATC 타워 디스플레이가 포토맥 TRACON으로부터 전송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최신 정보를 제공받았다. 이 데이터에 따르면 충돌 당시 블랙호크 헬리콥터가 ATC 디스플레이에서 300ft에 있었음을 보여줬다. 이 데이터는 100ft로 반올림된다. NTSB는 블랙호크의 데이터 포인트를 검증하기 위해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정보를 얻으려면 블랙호크의 잔해를 수중에서 인양하여야 하는데, 이는 이번주 후반에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2025. 2. 5. 이전 1 다음 반응형